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
한글자라도 한자가 들어가면 안되며.. 그냥 순우리말로 지어진 역임

 

1호선

없음

 

2호선

뚝섬역

download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
2호선의 유일한 순우리말로 된 역

참고로 옛날엔 경마장이 이 역 근처에 있었고 (지금의 서울숲 자리), 그당시 역 이름이 경마장이였음 

이 뚝섬이라는 이름의 유래는.. 옛날에 둑기 (조선에서 군권을 상징하는 깃발)에 제사를 올리는 둑신사가 있다고 둑섬이라 불렀다가 뚝섬으로 지명이 변형된거임

이 역 근처에는 서울숲이 있고, 요즘 핫한 성수동 골목도 이 역하고 성수역에서 가깝지

 

3호선

20170725_140938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연신내역

 

옛날에 연서천이라는 하천이 흐르던 동네였는데, 하천은 복개되고 그 자리엔 도로가 있음

그 연서천을 순우리말로 푼게 연신내

원래는 延新內 라는 한자지명이 있었으나 원래 의미와 전혀 무관한 한자라서 (내가, 하천할때 그 내가 아니라 내부할때 내) 표기가 삭제됨

 

 Seoul-metro-346-Hangnyeoul-station-sign-20181123-151620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학여울역

 

역 주변에 흐르는 하천, 양재천의 옛 이름중 하나인 학탄鶴灘 이란 단어에서 따온 역임

근데 바로 옆에 대치역이 있고, 출구가 SETEC 전시장쪽으로만 나있어서 역 이용객 수는 굉장히 저조한편..

이 역 주변 주민들도 학여울역 이용하기보다 버스타고 삼성역까지 간다더라 ㅋㅋ

 

참고로 제대로된 발음은 "하겨울"이 아닌 "항녀울"역임


347대청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대청역

 

강남이 개발되기 전 자연부락이였던 대청마을에서 유래된 역, 대청마루할때 그 대청이라는데.. 

왜 한자어가 없는지는 알수 없다고 함

 

4호선

20171105_143303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선바위역

"서있는 바위" "선암" 라는 자연지명이 있는데 이걸 순우리말로 풀어 선바위가 되었다고 함

 


 

 

5호선

maxresdefault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애오개역

 

역이 위치한 동네 아현동의 옛 이름

유래는 "작은 고개" "애기 고개"라 해서 애오개가 된건데.. 

어린아이들의 무덤이 많다는 썰도 있음.. 

들어보니 마포대로에서 충정로 방향으로 가는 오르막이 애오개라는 소리가 있음 

 

Seoul-metro-550-Gubeundari-station-sign-20180914-115616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굽은다리역

 

설명하기 어려워서 나무위키 설명으로 대신함

역명 유래는 이 일대가 개발되기 전 당말마을과 벽동마을을 연결하는 다리가 굽어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. 그리고 천호동이 "천호동" 이름을 받기 전 이름이 곡교리였기도 했다.

 

6호선
연신내역 (3호선 참고바람)

 

222D043F5688F4AE10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독바위역

 

역 주변 북한산에 장독대를 엎어놓은듯한 바위가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

 

IMG_6061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
버티고개역

옛날 순라군들이 야경을 돌면서 "번도!"라 하며 도둑을 쫓아서 "번티(番峙)"라 하다가 "버티고개"로 변한 것이다. 조선시대 당시에는 이 부근에 상주하는 몇몇 노상 강도 집단이 있었다고 한다. 성질 고약한 사람을 의미하는 "버티고개에 가서 서 있을 놈"이란 표현은 이 버티고개로 가서 도적을 해 먹을 정도로 막돼먹은 사람이라는 표현에서 왔다.

 

Dolgoji_Station_3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돌곶이역

역이 위치한 동네가 성북구 "석관"동인데.. 이 석관을 순우리말로 풀어낸 단어가 "돌곶이"

 

 

7호선

245AAA3A54E87DD50E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마들역

옛날 상계동 지역에 넓은 허허벌판이 있었는데, 그 이름이 "마들평야"였음

지금 마들평야 자리에는 상계주공 아파트 단지들이 빼곡히 들어차있지

 

2013-01-16 13.43.03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먹골역
 

역이 위치한 중랑구 "묵동"을 순우리말로 푼 역.. 묵동할때 "묵"의 한자가 먹 묵 자임.. 

아마 양천구 목동이랑 혼동을 피하게 위해 그렇게 지은듯

740_장승배기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장승배기역

옛날에 있었던 시흥군과 과천군의 경계에 장승이 서있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음

 

300px-742_보라매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보라매역
 

역 주변에 위치해있던 공군사관학교의 상징하는 새 이름이 "보라매"였음.. 

공군사관학교는 지방으로 이전했지만, 지금 그 자리에 있는 공원이 "보라매공원" 

 

Kkachiul_Station_3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까치울역

 

역이 위치한 동네의 이름 "작동"을 순우리말로 푼것.. 근데 정작 역은 작동하고 춘의동의 경계에 있다는 사실 ㅋㅋㅋ

 

8호선

없음

 

9호선


download1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노들역

 

"노량진"을 순우리말로 하면 "노들나루"인데 거기서 나온 역임

 

분당선

01339C45507074230B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서울숲역

 

역 이름이 곧 내용 ㅋㅋㅋ 서울숲이 바로 앞에 있음.. 서울 자체가 순우리말 지명이니 ㅋㅋ

 

2530B03E56B8305428.jpg 서울 지하철역중 순우리말로 된 역들 jpg

한티역

 

원래 "영동역"으로 하려고 했지만, 충북 영동에 영동역이 있으니... 

대치동을 순우리말로 푼 지명이 한티임.. 대치동에서 "치"가 우뚝솟았다 하는 뜻인데

실제로 휘문고쪽으로 높은 언덕이 나있지..